SME 해외진출 세미나 통역
1. 개요
중소기업 해외진출 세미나는 수출 전략, 글로벌 시장 동향, 해외 규제 및 인증, 투자 유치, 현지 네트워크 구축 등을 다루며,
참석자는 중소기업 대표, 수출 담당자, 무역 관련 기관, 투자자 등입니다.
통역사는 국제 무역 용어, 해외 진출 성공/실패 사례, 정부 지원정책을 정확하게 전달해야 합니다.2. 주요 주제
글로벌 시장 분석
신흥시장(동남아, 아프리카, 중동) 기회
미·중·EU 무역 정책 변화
수출 전략 및 해외 마케팅
온라인 플랫폼 활용(Cross-border e-commerce)
해외 파트너십·에이전시 계약
법규·규제 및 인증
CE, FDA, ISO, KC 등 해외 인증
FTA, 관세, 비관세 장벽
정부·기관 지원
KOTRA, 무역협회, 중기부 지원 사업
수출 바우처, 해외 전시회 참가 지원3. 실제 사례
???? 사례 1: 중소 전자부품 제조업체의 동남아 진출
한국의 중소기업 A사는 스마트폰용 전자부품을 생산.
현지 시장 조사 후 베트남 생산 거점 확보 + 말레이시아 파트너와 유통 계약.
통역 시 FTA 적용에 따른 관세 혜택 설명, 현지 인증 절차를 정확히 전달.
???? 사례 2: 식품 스타트업의 중동 수출
건강식품 스타트업 B사는 **할랄 인증(Halal Certification)**을 획득.
UAE 전시회 참가 후 현지 바이어와 MOU 체결.
통역 시 **문화·종교적 요소(할랄, 소비 트렌드)**를 고려한 설명 필요.
???? 사례 3: 헬스케어 기기 기업의 미국 진출
의료기기 중소기업 C사는 FDA 승인 절차를 거쳐 미국 시장 진출.
현지 투자자 미팅에서 제품 안전성·임상시험 데이터 설명.
통역 시 규제 전문 용어(FDA, clinical trial, compliance) 정확성 요구.4. 통역 시 유의사항
전문용어 숙지: 무역(Incoterms), 물류, 관세, 인증 관련 약어
문화적 맥락 반영: 현지 소비자 특성, 문화적 차이 설명 필요
사례 전달 명확성: 기업 성공 사례·실패 요인을 간결히 설명
기관명·정책명 정확성: KOTRA, 무역보험공사, 중소벤처기업부 프로그램중소기업 해외진출 세미나 통역에서는 정책·규제와 실제 기업 사례가 동시에 다뤄지므로,
통역사는 경제·무역 전문용어 + 문화적 맥락을 모두 아우르는 균형 잡힌 전달력이 필요합니다.